일 시 : 2012 - 10 - 21
장 소 : 무 등 산 일 원
날 씨 : 맑은 가을하늘
누 구 랑 ; 나 홀 로
코 스 : 주차장 - 세인봉 - 중머리재 - 장불재 - 입석대 - 서석대 - 중봉 - 동화사터 - 토끼등 - 증심사입구
아침에 일어나 집에서 무등산을 바라보니 낮게 내려앉은 박무가 무등산을 에워싸고 앉아 그리움만 키우고 있다.
반쪽과 같이 가려고 하였으나, 나홀로 무등산을 향한다. 무등산 주차장은 하나 둘 채워지기 시작하는 차량들로 북적거린다. 주차를 하고 세인봉 입구를 향한다. 청명한 가을하늘이라 그런지 사람들로 북적거리는 것이 정말 요란하다. 서둘러 세인봉가는 입구로 들어서지만 여기서도 줄을 서서 진행해야 할 만큼 사람이 많다. 급하게 밀어올려 세인봉에 서니 가을 햇빛을 즐기려는 사람들로 행복의 웃음소리가 피어나고 삼삼오오 모여 힘들게 메고온 음식들을 먹느라 분주하다.
우리 삶이 한발 한발 내 디디며 산을 오르듯 그렇게 미래의 시간으로 흘러가는 것인가. 내가 보는 것이 전부가 아니고 나만 저것을 보는 것이 아니고 저 자연도 나를 쳐다보고 있다는 사실, 내 안의 또다른 내가 나를 쳐다본다는 사실 그것이 이 가을날 산중길을 걸어가면서 생각한 것이다. 무엇이 삶을 지치게 만들고 행복하게 만들고 생각하게 만드는가 그것은 내안의 나를 발견하는 순간부터 시작되는 것 같다.
그렇게 중머리재에 도착하니 정말 가을 햇빛을 즐기는 등산객들이 너무도 많다. 샘터에서 물 받고 나는 용추삼거리로 치고 오른다. 용추삼거리 조금 위 너들에서 붉은 여인의 입술처럼 아름답게 물들어 가는 가을 색을 보면서 시원한 막걸리 한잔 들이키니 참 행복이 큰것에서 찾는 것 보다는 일상의 순간이 행복이라는 생각이다.
다시 장불재를 향하여 오르는 길에서 만나는 무등산은 아름답게 가을 색으로 채색되어 지고 있으며, 장불재는 주말이면 사람들이 붐비듯이 그렇게 일상의 가을이다. 백마봉 능선의 아름다움 감상하고 입석대로 향한다. 오늘은 입석대 밑 바위에서 바라보는 입석대의 모습이 가을하늘과 어울려 더욱 더 멋진 모습이다. 승천대를 지나 서석대에 서니 탁터인 조망에 정말 가을하늘의 묘미가 느껴지는 순간이다. 일망무제의 멋스러움에 한껏 취해 사방을 두리번 거리다 서석대로 내려서서 가을 서석대의 모습을 담고 중봉의 억새 능선의 한들거림을 느끼며 동화사터로 내리막을 내려 토끼등에서 증심사 입구로 하산하며 무등산의 가을을 만끽하였다.
가 을
파아란 하늘에 실구름이
아름답고
들판의 황금색이
아름답고
나무들이 갈아입는
옷의 색깔이 너무도
화려한 가을
겨울가고
봄가고
여름가며
가을에
알알이 열매 맺은
수확의 풍성함에
함박웃음 짓는
촌노의 얼굴이
너무도 순수하고 아름답다
낙엽비가 내리는 날
바스락 거리는 소리와 함께
지난 시간 짊어진
무거운 짐 내려놓고
천천히 가을을 음미하며 걷고싶다.
2012.10.21
대 방 산
세인봉 가는 길
실구름과 광주 시가지
암벽등반을 하고 있네요
중머리재와 중봉의 가을
억새와 장불재
용추 삼거리 위 너들에서 바라본 가을
너들에서 바라본 중봉 아래 풍경
광주천 발원지 샘골
장불재에서 바라본 백마봉과 억새
장불재에서 바라본 서석대와 입석대의 가을
두번의 태풍 영향으로 위기 의식을 느껴 종 번식을 위해 핀 꽃
담쟁이 넝쿨의 가을
엷은 박무와 실구름의 산야 풍경
입석대와 파아란 가을하늘
입석대 정상에서 바라본 저멀리 동복댐과 옹성산
언제쯤 완전 개방이 되려나
종바위와 천황봉
용담의 자태
서석궁
근위대장 바위던가
서석대 정상부와 가을하늘의 실구름
서석대의 가을
중봉의 억새
혼자보다는 둘이 행복합니다
미지의 공간
중봉에서 바라본 무등산의 가을
누에봉이 말없이 손 흔들고 있습니다
아름다운 도시의 가을입니다
우리들의 삶이 저렇게 곱게 돌고돌아 가겠지요
아쉬운 마음에 자꾸 돌아봅니다.
아마도 다음번에 올때는 설원의 무등산이겠지요
용담의 고운 자태
동화사터 밑 가을
멋을 아는 가을 남자
정말 멋지지 않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