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명/타행 산

[스크랩] [진안] 덕태산 등산지도

대방산 2014. 5. 17. 07:11

 

 

 

 

 

 

 

 

 

 

덕태산 [德泰山]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에 있는 산.

 

높이 1,113m. 노령산맥 북동단에 솟아 있으며, 주위에 선각산·성수산·팔공산 등이 있다. 산정은 비교적 평탄하고 남동 사면을 제외한 대부분이 급경사를 이룬다. 숲이 울창하며, 산록에는 운교제·화산제 등의 저수지가 있다. 산의 서쪽은 산 중턱까지 개간되어 경작지로 이용되며, 백암리에서는 논농사가 이루어진다. 주변에 마이산도립공원이 있으며, 산의 동쪽에 진안·남원 방면을 연결하는 국도와 지방도가 지난다. 

 

☞ 산행코스

1코스 : 백운관광농원-점전폭포앞-덕태산-시루봉-임도갈림길-홍두깨재-전망바위-삿갓봉-전망대-갓거리봉-선각산-한밭재-투구봉-독진암-백운관광농원 12.5km(6시간30분)

 

2코스 : 백운관광농원-점진폭포앞-덕태산-시루봉-임도갈림길-홍두깨재-임도합류-장자골-점전폭포-관광농원 9km(3시간30분)


 

◈ 덕태산(德泰山 1,113m)은 시루봉에서 서쪽 진안군 백운면으로 가지를 친 능선에 솟아 있는 산이다. 덕태산의 물줄기는 금강과 섬진강의 분수령이 되며, 북쪽은 천천을 통하여 금강, 서쪽은 백운동계곡과 오원천을 통하여 섬진강으로 흘러든다. 백운동 계곡 서쪽에 마주보고 있는 내동산과 고덕산이 활기찬 모습이 보이고, 덕태산과 선각산은 덕스럽고 믿음직한 산으로 의연하게 다가온다.

천혜의 신비와 울창한 숲, 수려한 경치를 자랑하는 백운동계곡이라 할 수 있다. 옛부터 아름답고 기암괴석과 천혜의 자연조건을 갖춘 백운동계곡 남쪽 기슭은 빨치산의 소굴이라는 이유로 모두 불타없어지고 지금은 하우스식의 암자들이 자리잡고 있다. 덕태산과 선각산의 조화를 이룬 백운동계곡과 통시골, 장자골은 여름철이면 피서객들로 인산인해를 이룬다. 특히 백운동계곡에서 약 3km에 이르는 계곡일대의 수많은 폭포와 암반으로 넘쳐흐르는 맑은 물에 발을 담그고 탁족을 하면 저절로 속세를 잊게된다.

정상에서 남으로는 지리산의 연봉이 운해에 감쌓여 있고, 동으로는 남덕유산, 북으로는 마이산의 쫑끗 세운 두 귀가 다가오고, 서남쪽으로 내동산과 고덕산 등 사방이 조망되어 가슴이 후련해옴을 느낄 수 있다. 또 5~6월의 철쭉의 향연은 점진폭포와 함께 덕태산 산행의 백미로 손꼽힌다.

산행은 매표소 주차장에서 계곡 안으로 10분정도 오르면 점전폭포가 나타난다. 점전폭포에서 화장실이 있는 삼거리에 닿는다. 오른쪽 계류를 건너가는 길은 선각산으로 가는 길이다. 덕태산은 직진하는 임도로 계속 따라 오른다. 상수리나무숲 아래로 도토리가 즐비한 임도를 따라 장자골 안으로 30분 가량 올라가면 잣나무숲이 길 양쪽으로 나타난다.

잣나무숲은 짧은 거리에서 끝나고, 이어서 키를 넘는 억새군락이 양쪽으로 이어진다. 억새군락이 끝나고 오른쪽 홍두깨재로 이어지는 지계곡으로 들어서는 산길에서 왼쪽으로 굽도는 임도로 따라 올라간다. 주능선에서 왼쪽으로 1분 가량 오르면 억새군락이 펼쳐진다. 여기가 시루봉이다.

맑은 날이면 남쪽으로 장자골 건너로 선각산이 마주보이고, 선각산 왼쪽 뒤 멀리로는 장수 팔공산이 하늘금을 이룬다. 시루봉에서 북으로는 진안 성수산과 마이산도 시야에 들어온다. 시루봉에서 뚜렷한 능선길은 서쪽으로 이어진다.

펑퍼짐한 안부로 내려섰다가 억새밭이 있는 무명봉을 넘어 30분 거리에 이르면 왼쪽 아래 100m 거리로 임도가 내려다보이는 안부를 지나간다. 안부에서 10분 거리에 있는 헬기장(40여 평 넓이)에 오른 다음, 15분 거리에 이르면 회색빛 바위가 삐죽 돋아 있는 덕태산 정상이다.

하산은 남릉을 탄다. 남서쪽 아래로 휘도는 길을 따르면 곧이어 바위지대를 내려선다. 바위지대 왼쪽 아래가 통시골이다. 거의 남쪽으로 내려서는 능선길을 따르면 백운동계곡이 골골샅샅이 내려다보이는 전망바위가 나타나고, 전망바위에서 왼쪽 급경사를 내려서서 약 50분 거리에 이르면 점전폭포 위 임도에 닿는다.

또는 정상에서 헬기장을 지난 안부로 되돌아나와 100m 거리인 임도를 따라 장자골과 선각산을 보며 내려오는 것도 운치 있다. 이 임도를 이용하면 승용차로 정상을 쉽게 다녀올 수 있다.

◐ 주차장→점전폭포→홍두깨재→시루봉→헬기장→정상→남릉→점전폭포→주차장(9km, 약 3시간 20분)

◈ 백운계곡 : 마이산 관광권에 포함되는 백운계곡은 팔공산(八公山)에서 이어진 덕태산과 선각산에서 흘러내려오는 계곡에는 굽이굽이에 기암괴석이 웅크리고 있어 비경을 이루고있다. 공해가 없는 전북에서도 가장 깨끗한 자연환경을 유지하고 있는 청정지역으로 특히 봄철에는 골짜기에 흐드러지게 피는 진달래꽃은 장관을 이룬다.

마이산에서 마령으로 나와 여기서 남쪽으로 4km 쯤 가면 백운면 소재지가 나오는데 여기서 왼쪽 골짜기로 오르면 백운동 계곡이 전개된다. 한편 소재지에서 오른쪽 길을타고 가면 섬진강의 수원지인 팔공산 밑 신암리 저수지가 나오는데 7km의 긴 골짜기도 백운계곡과 버금가는 절경을 이루고 있으며 여름에는 피서객, 봄철에는 고사리 등 산나물을 채취하고 진달래꽃을 관상하려는 관광객이 모여들고 있다.

 

 

 

 전북 진안의  덕태산 ~ 선각산  

높   이

덕태산 1,113m 

위   치

전북 진안군 백운면

특징/볼거리

진안의 덕태산과 선각산은 백운골 동편에 남북으로 어깨를 나란히 하고 솟

아 있는 산이다. 덕태산은 암릉과 울창한 숲과 빼어난 경치로 알려진 백운동

계곡이 있다.


백운동 계곡은 여름이면 피서인파로 북새통을 이루기도 한다. 백운동계곡에

서 2.5m 거리의 취사장, 주차장까지의 계곡 일대의 수많은 폭포와 암반 뒤로

맑은 물이 넘쳐 흐른다, 정상에 서면 남덕유산, 마이산이 시야에 들어 온다.


산행은 백운면 소재지 우체국에서 백운동계곡으로 올라 왕복하는 코스가 대

표적인 코스이나, 정상에서 서북능선을 타고 신전마을을 거쳐 평장리로 하

산하거나, 덕태산에서 선각산을 종주하여 서능을 타고 762봉을 거쳐 동창리

나 반송리로 하산할 수 있다.

등산시간

4시간 40분

등산지도

  덕태산 간략도

등산코스

우체국- 시멘트도로- 중백암-상백암- 백운동- 태고종암자- 우측능선- 좌측

등산로- 기암괴석과 절벽지대- 좌측능선- 암릉지대- 정상- 좌측능선- 암봉

군- 칼바위- 우회길- 임도- 백운동계곡 - 주차장 -태고종암자- 백운면 소재


대중교통

ㅇ진안- 마령- 백운- 임실행 직행버스

ㅇ임실- 백운행 시내버스이용  

 

 

 

전북 진안군 백운면의 덕태산, 선각산은

쳔헤의 울창한 숲과 계곡을 품고 수려한 경관을 갖춘 산이다.

 

산세가 이름만큼이나 덕스럽고 믿음직하며 

산에 올라서면 백두대간과 금남호남정맥의 마루금들이 파노라마 처럼 일망무제로 펼쳐진다.

 

덕태산의 물줄기는 금강과 섬진강의 분수령이 되며

북쪽은 천천을 통하여 금강, 서쪽은 백운동계곡과 오원천을 통하여 섬진강으로 흘러든다.

 

 

 

 

 

 

 

덕태산 자락에는 수많은 미개척의 계곡과 전인미답의 능선이 원시림으로 가려져 있으며 험준한 절벽과 갖가지 형상의 거대한 바위가 도처에 산재한다.

능선의 동쪽으로는 장수 와룡 휴양림으로 넘어가는 원시림 지대이며 팔공산과 함께 섬진강의 분수령이다.


덕태산은 선각산과 더불어 웅장한 백운동 계곡을 이루며 여기서 모아진 물은 섬진강으로 흐른다.

백운동계곡에서 점전폭포를 지나 산비탈로 오르면 길 가에도 온통 고사리 천지다.

봄철에 고사리철에는 바랑망태를 메고 올라와서 고사리를 꺽으면 메고 산길을 내려가기가 어려울 것 같다.

산불이 낫었는지 키큰나무는 없고 온통 잡목들만 무성하게 자라고 틈만 있으면 고사리순이 자리를 메우고 있다.
덕태산에서 시루봉으로 이어지는 대등에는 무명봉이 하나 봉긋 솟아있고 대등길에는 사람 키 높이로 자란 산죽(조릿대)이 빽빽하게 자라고 있어 헤처나가기 조차 힘들다.
덕태산과 선각산 가운데로 찢어진 백운동계곡은 포장도로가 훤하게 뚫여 있어 아늑한 산속 계곡을 찾는 사람들은 실망이 크다. 시루봉 말랑치 까지 찻길이 훤하게 뚫여 있다.

덕태산과 선각산은 봄철 나물이나 뜯으로 갈만한 산이지 심신을 풀며 삼림욕산행을 즐기는 사람들에게는 신통치 않은 산이다.

덕태산과 이어진 시루봉 동편으로는 와룔자연휴양림이 조성되어 있어 덕태산 - 시루봉 - 와룡자연휴양림이나 덕태산 - 시루봉 - 오게치 - 와룡자연휴양림을 잇는 산행으로 역을 수 있다.

 

□ 등산코스

중백암-상백암- 백운동- 태고종암자- 우측능선- 좌측등산로- 기암괴석과 절벽지대- 좌측능선- 암릉지대- 정상- 좌측능선- 암봉군- 칼바위- 우회길- 임도- 백운동계곡 - 주차장 -태고종암자- 백운면 소재지

  • 주차장- 점전폭포- 홍두깨재- 시루봉- 헬기장- 정상- 남릉- 점전폭포- 주차장 : 9km (40분 )

     

    □ 교통

    1) 호남고속도 전주IC -> 전주진입하지 말고 26번국도(임실/남원 방향) -> 17번국도로 갈아타고 기차길옆 -> 임실 진입금지 30번국도로 갈아타고(진안 방향) -> 성수면 -> 백운면
    2) 88고속도 남원IC -> 17번국도(임실/전주 방향) -> 임실 진입금지 -> 30번국도(성수/백운/진안 방면) -> 백운면
    3) 대전-통영간고속도 장수IC -> 26번국도(진안/전주 방면) -> 30번국도(임실/남원 방향) -> 마령 -> 백운면

     
    □ 대중교통

    1) 전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임실 경유 백운행 버스 이용, 1일 3회 운행.(1시간 10분 소요) 전주에서 진입할 경우 첫차를 타야 하며 이 버스는 동산마을 입구인 백운교에서 정차하지 않으므로 백암리 종점에서 동산마을로 지입해야 한다.

    2) 임실 - 백운 (진안행 완행버스 이용, 1일 7회 운행, 30분 소요) 백운교에서 하차해 동산마을로 진입한다. 전라선이 통과하는 지역에서는 열차편을 이용해 임실서 진입하는 것이 편리하다.

     

     

       

     

     

     

     

     

     

     

     

     

     

     

     

     

     

     점전폭포 ↗

     

     

     

     

     

     멀리 내동산 ↗

     

    덕태산 ↗

     

     덕태산과 시루봉의 후덕스러운 산세, 그리고 오른쪽으로 홍두깨재

     

     투구봉 투구바위 ↗

     

     투구바위 ↗

     

     마이산과 멀리 운장산 ↗

     

     

      

     

     

     팔공산과 그 아래 화암리 화암제 ↗

     

     맨 뒤로 지리산 천왕봉과 주능선 ↗

     

     지나온 선각산과 투구봉(오른쪽) ↗

     

     삿갓봉 전망대 ↗

     

     멀리 남덕유산 ↗

     

     맨뒤로 덕유산 향적봉(왼쪽)과 남덕유산(가운데) ↗

     

     멀리 장안산과 영취산, 백운산 ↗

     

     오계치와 그 위로 팔공산으로 이어지는 금남호남정맥 능선 ↗

      

      

     장안산 ↗

     

     남덕유 방향의 푸른 하늘 ↗

      

     오른쪽으로 멀리 시루봉 ↗

      

     전망바위(1080봉)에서 덕태산~시루봉 조망 ↗

     

     선각산과 투구봉 ↗

      

     

     장안산과 백운산 방향 ↗

      

     시루봉 ↗

     

     시루봉에서 지나온 삿갓봉, 선각산 능선 조망 ↗

      

     마이산과 뒤쪽으로 부귀산, 그 뒤로 연석산, 운장산, 구봉산 능선 ↗ 

     

     

     성수산 ↗

     

     덕태산 진행방향 ↗

        

    시루봉 ↗

      

       

     내동산 ↗

      

     

     

      투구봉 능선이 앞쪽에.. ↗

     

      삿갓봉과 선각산, 그 뒤로 팔공산 ↗

     

     

      

     

     

     

     

     

     

     

     

     

      전북 진안의  덕태산 ~ 선각산  

    (2010. 5. 29, 토)

     

     

    전북 진안군 백운면의 덕태산, 선각산은

    쳔헤의 울창한 숲과 계곡을 품고 수려한 경관을 갖춘 산이다.

     

    산세가 이름만큼이나 덕스럽고 믿음직하며 

    산에 올라서면 백두대간과 금남호남정맥의 마루금들이 파노라마 처럼 일망무제로 펼쳐진다.

     

    덕태산의 물줄기는 금강과 섬진강의 분수령이 되며

    북쪽은 천천을 통하여 금강, 서쪽은 백운동계곡과 오원천을 통하여 섬진강으로 흘러든다.

     

     

     

     

     

     점전폭포 ↗

     

     

     

     

     

     멀리 내동산 ↗

     

     오후에 하산할 맞은편의 덕태산 ↗

     

     덕태산과 시루봉의 후덕스러운 산세, 그리고 오른쪽으로 홍두깨재

     

     

     

     투구봉 ↗

     

     투구봉 투구바위 ↗

     

     

     

     투구봉에 올라서서 ↗

     

     소덕태산 그리고 멀리 고덕산(좌)과 내동산(우) ↗

     

     

     

     덕태산 ↗

     

     덕태산 뒤쪽으로 마이산이 희미하게 보인다. ↗

     

     마이산 뒤로 부귀산, 그뒤로 연석산과 운장산 ↗

     

     투구바위 ↗

     

     홍두깨재와 장지골 ↗

     

     선각산(가운데) ↗

     

     

     

     

     

     

     한밭재 ↗

     

     

     

     지나온 투구봉 ↗

     

     

     지나온 투구봉 ↗

     

     

     

     

     

     

     

     헬기장에서 지나온 능선방향(멀리 내동산과 우측 뒤로 만덕산) ↗

     

     헬기장(1025봉)에서 덕태산 방향 조망 ↗

     

     선각산 ↗

     

     

     

     팔공산, 뒤쪽으로 멀리 지리산 주능선이 보인다. ↗

     

     

     마이산과 멀리 운장산 ↗

     

     

     

     

     

     

     팔공산과 그 아래 화암리 화암제 ↗

     

     맨 뒤로 지리산 천왕봉과 주능선 ↗

     

     

     가야할 삿갓봉(1114봉) ↗

     

     덕태산 ↗

     

     

     

     지나온 선각산과 투구봉(오른쪽) ↗

     

     삿갓봉 전망대 ↗

     

     멀리 남덕유산 ↗

     

     맨뒤로 덕유산 향적봉(왼쪽)과 남덕유산(가운데) ↗

     

     멀리 장안산과 영취산, 백운산 ↗

     

     오계치와 그 위로 팔공산으로 이어지는 금남호남정맥 능선 ↗

     

     

     

     

     

     

     

     장안산 ↗

     

     남덕유 방향의 푸른 하늘 ↗

     

     

     오른쪽으로 멀리 시루봉 ↗

     

     

     

     

     

     

     

     전망바위(1080봉)에서 덕태산~시루봉 조망 ↗

     

    지나온  선각산과 투구봉 ↗

     

     

     

     

     

     

     

     

     

     

     

     

     장안산과 백운산 방향 ↗

     

     

     

     

     

     시루봉 ↗

     

     

     

     

     

     시루봉에서 지나온 삿갓봉, 선각산 능선 조망 ↗

     

     

     마이산과 뒤쪽으로 부귀산, 그 뒤로 연석산, 운장산, 구봉산 능선 ↗ 

     

     

     성수산 ↗

     

     

     덕태산 진행방향 ↗

     

     

     

     

     

     지나온 시루봉 ↗

     

     

     

     

     

     

     

     내동산 ↗

     

     

     

     

     오전에 올라갔던 투구봉 능선이 앞쪽에.. ↗

     

     지나온 삿갓봉과 선각산, 그 뒤로 팔공산 ↗

     

     

     

     

     

     

     

     

     

     

     

     

     

     

     

    주차장 → 점전폭포 → 투구봉 → 한밭재 → 선각산 → 삿갓봉 → 1080봉 → 홍두깨재 → 시루봉 → 덕태산 → 점전폭포

     

     

     오는 길에 잠시 마이산을 ↗

     


     

    출처 : 위대한 여정
    글쓴이 : 청산 이완근 원글보기
    메모 :